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햇빛발전
-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
- 재생에너지
- 기후재난
- 기후정의
- 인권
- 태양광
- 기후행동
- 인천석정초
- 취약계층
- 시민참여
- 시민햇빛발전소
- 장애인
- 협동조합
- 사회공헌
- 염전골
- 인천석정초등학교
- RE100
- 인천에햇빛발전소가필요해
- 재난대피소
- 학교태양광
- 재난대피
- 탄소중립
- 햇빛발전협동조합
- 정기총회
- 기후위기
- 햇빛발전소
- 에너지전환
- 에너지취약계층
- 탈석탄
- Today
- Total
목록기후위기 (64)
염전골협동조합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에서 청라생태공원 체험행사에 ‘커피박 키링만들기’와 ‘태양광무선조종 축구’ 프로그램으로 참여했습니다. 예상인원은 ‘10명씩*8회=80명’ 정도라는 이야기를 듣고 가벼운(?) 마음으로 준비했습니다.기후가 예사롭지 않은 여름을 보냈는데, 가을은 가을인가 봅니다. 가을 날이 좋았습니다. 날이 너무 좋았습니다. 정말정말 날이 좋았습니다. 여유를 부릴 새도 없이 300명이 넘는 분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볼이 상기된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했는데 아쉬움이 남은 어린이들과 여유 시간도 보냈네요.

안산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2024년 에너지나눔전달식이 열렸습니다. 희년상생사회경제연대네트워크와 시민이종발전협동조합협의회에서 주최하고 후원해주었습니다.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에서는 인천의 에너지취약계층 가정에 LED전등과 콘덴서 등을 지원해줄 예정입니다.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과 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10월 2일 「장애포괄적 기후위기·재난대응 정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인천 YWCA 7층 강당(남동구 정각로 8)에서 개최했다.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과 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는 지난 5월부터 ‘장애인 기후위기 안전진단 모니터링 참가단’을 모집해, 인천시 재난대피소의 접근성·편의시설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모니터링 참가단이 살펴본 대피소는 중복된 곳을 포함하여 모두 136곳(휠체어와 보행 불편 등 신체장애 83곳, 시각장애 53곳)이다. 이와 함께, 장애인 211명을 대상으로 기후위기와 기후위기로 인한 ‘장애인 기후위기·재난안전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토론회에서재난대피소 모니터링(발표-노승방)과 장애인 재난안전 인식조사(발..

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한국장애인재단의 지원으로 인천 내 재난대피소 편의시설 모니터링 및 재난인식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발표와 더불어, 장애포괄적 기후위기.재난대응 정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진행합니다.*일시 : 2024.10.02(수) 14시*장소 : 인천 YWCA 7층 강당 (남동구 정각로 *주최 주관 : 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문의 : 032-886-4880 (전종순)*토론회 순서-인사말: 주재영(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협회장)-발표: 재난대피소 편의시설 모니터링•재난안전인식조사 결과 발표-발제: 장애포괄적 기후위기•재난대응 정책제안(장시정_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 이사장)-토론1: 김준영(큰솔장애인자립생활센터 동료상담가)..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 2025년 정기총회 공고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 정관 제 28조·31조·33조·34조에 의거하여 2025년 정기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니 꼭 참석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시_2025. 2. 22(토) 17시장소_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교육실안건_2024년 사업평가 및 결산안 승인 2024년 감사보고서 승인 이익잉여금 처분 2025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승인 기타안건 2025년 1월 16일 염전골햇빛발전협동조합 이사장 장시정 * 정기총회 위임 및 위임장 작성은 추후 공지하겠습니다.

2024년 여름은 역대급 폭우와 폭염을 기록했습니다. 매년 기록을 갱신하는 예측불허의 기상이변 속에서 이번 여름은 우리의 생명과 안전을 깊이 있게 고민해 본 한 해였습니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생명을 지키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생명을 지키기 위하여 안전한 어딘가로 대피해야겠지요. "폭우·태풍·지진 등 혹시 모를 재난 상황에서 혼란에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피난처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 있나요?" 라는 궁금함에서 시작했습니다. 재난 대피소, 임시주거시설, 지진옥외대피소, 민방위 대피시설… 뉴스를 통하여 여러 번 들어봤을 곳들입니다. 지정된 목적과 용도는 다르지만 우리가 처할 재난 상황에서 안심하고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입니다. 대피소는 우리의 생명을 지키기 위하여 가..